이 글의 제목에는 디즈니+, 넷플릭스 오류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 글은 디즈니+, 넷플릭스 앱을 다룬 게 아니고 메모리 오류를 다룬 글임을 먼저 밝혀 놓습니다. 요약: TV 또는 OTT 셋톱박스에서 메모리 오류 발생 시 나타는 증상들 1. LG 채널 또는 삼성 TV 플러스가 안 나온다 2. 앱들에 로그인이 안 된다. 요약에 적은 증상들 발현 시 이 글의 결론은 "전원을 껐다가 켜라 (재부팅)"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
며칠 전에 OTT 셋톱박스에서 디즈니+를 시청하려는데
디즈니+에서 로그아웃이 되어 있는 거였습니다.
디즈니+의 경우 스마트폰에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지원하지만
스마트 TV와 OTT 셋톱박스에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고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창에서
창에서 보이는 주소로 방문에서 코드를 입력하든가
또는 QR 코드로 스캔해서 기기 등록 페이지(창에 보이는 주소와 동일 주소)에 방문 후에
로그인을 지원합니다.
(제가 현재 스마트 TV와 OTT 셋톱박스에서
OTT들에 로그인했던 게 너무 한참 전이라서
기억이 확실치 않지만 넷플릭스도 같은 방식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 스마트 TV 또는 OTT 셋톱박스 또는 스마트폰에서 OTT들에 로그인을 해 놓을 경우
로그아웃이 되는 경우는 웬만해서는 거의 생기지 않는 일이죠.)
어쨌든 로그아웃이 되어 있어서
PC를 켜고 창에 보이는 주소 방문 후에
(당연히 PC에서 디즈니+에 로그인 되어 있어야 합니다.)
코드를 적었는데
TV 설정이 완료되지 않는 거였습니다.
정상적일 경우
위 사진의 창에서 보이는 코드를 적을 경우
TV 화면에 TV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라고 뜨면서
로그인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코드를 적어도 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상태 그대로만 떠 있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다시 시도를 했는데 역시나 ㅠ ㅜ
그래서 또 몇 번을 다시 시도했는데 역시나였습니다.
디즈니+에 오류가 발생한 건가라는 생각에
스마트 TV에서 디즈니+를 굳이 로그아웃시키고
다시 로그인을 해 보았는데
스마트 TV에서는 PC에서 코드를 적자마자 곧바로 TV 설정이 완료되었다고 뜨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OTT 셋톱박스가 띄운 로그인 인증 화면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QR 코드 스캔 후에 기기 등록 페이지에 방문해서
코드를 입력했지만 역시나 설정이 완료되지 않는 거였습니다.
역시나 안 되네?
그런데 그때 제 스마트폰이 데이터 연결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어? OTT 셋톱박스랑 같은 네트워크가 아니라서 안 되나라는 생각에
스마트폰의 모바일 데이터 연결을 끊고 WiFi에 연결하고 다시 시도했지만 역시나 안 되는 거였습니다.
조금 난감했습니다.
이제 디즈니+는 PC 또는 스마트폰으로만 보아야 하나?
저희 집 스마트 TV는
어머님 독차지라서
어머님과 함께 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는 OTT들을 OTT 셋톱박스를 연결한 TV 또는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보거든요 ㅠ ㅜ .
그런데 PC와 스마트폰은 아무래도 화면이 작으니까 ㅠ ㅜ
그렇게 난감해 하고 절망(?)하다가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
메모리 오류!!!
그 생각이 떠오르자마자
저는 OTT 셋톱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멀티탭의 on/off 스위치를 껐다 켰습니다.
그리고 다시 OTT 셋톱박스를 켜고 디즈니+ 로그인을 시도하자
곧바로 TV 설정이 완료되었다고 뜨면서 로그인이 되는 거였습니다.
저는 디즈니+에 로그인이 안 된다고 30분 정도 삽질을 했는데
사실 문제의 원인은 메모리 오류였던 겁니다.
메모리 오류는 운영체제를 사용하면서 메모리에 모듈들을 로드하는 모드는 기기들,
PC, 스마트폰, 스마트 TV 그리고 OTT 셋톱박스 등등에서
종종 생길 수 있는 오류라는 걸 저는 알고 있었으면서도
30분이 넘게 삽질을 했던 거죠 ㅠ ㅜ
스마트 TV를 사용하다가 보면
LG 채널 또는 삼성 TV 플러스가 안 나오는 경우도 생길 건데
이 경우에도 역시나 메모리 오류인 경우가 대다수라 TV의 전원을 끊었다가 다시 넣으면 됩니다.
그런데 이때 전원을 끊는다는 건
리모컨으로 TV를 off/ on을 하는 게 아니고
전원을 완전히 끊었다가 다시 전원을 넣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TV들이나 OTT 셋톱박스들이 그렇지만)
전원 스위치가 따로 없는 경우에는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았다가 다시 꽂아야 합니다.
가끔 PC에서도 알 수 없는 오류가 생겨서 오류 창들이 뜰 때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윈도우를 재부팅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주의- PC는 플러그를 뽑았다가 다시 꽂는 게 아니고 재부팅입니다.)
또 이런 오류는
- 저 같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일주일에 서너 번은 닦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일주일에 서너 번 전원을 껐다가 켜서
스마트폰에서는 이런 오류를 한 번도 겪지 못했지만-
스마트폰에서도 생길 수 있을 겁니다.
스마트 TV 또는 OTT 셋톱박스에서 이상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전원을 끊었다가 다시 넣는 거만으로 거의 모두 해결이 될 겁니다.
PC의 윈도우 또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재부팅으로 해결이 되는 경우들도 많을 겁니다.
글을 마치기 전에 참고로 두 가지만 언급을 한다면
메모리 오류는 주로 부팅 후에 시간이 오래 지난 경우 많이 생기지만
(스마트 TV 또는 OTT 셋톱박스의 경우에는 리모컨으로 전원을 끈 경우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는 게 아니고
대기(절전) 모드 상태로 꺼지는 겁니다.)
(메모리 오류는 부팅을 한 직후 곧바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스마트 TV 또는 OTT 셋톱박스에서 이상한 오류가 발생 시
전원부터 차단했다가 다시 넣어 보는 게 가장 먼저 할 일입니다.
주의할 점은
PC 또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재부팅으로 해결이 안 되는 경우
악성코드 감염 또는 악성 앱 설치를 의심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Lecture > et cet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속에서 살펴보는 평행 이론 (0) | 2010.07.12 |
---|---|
빙판길에서 효율적으로 ABS 브레이크 이용하기 (1) | 2010.02.13 |
쌀 이야기 (0) | 2009.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