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개인 사용자 기준입니다. 회사 등등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PC들은
무료 ESU 등록을 하면 안 됩니다. ESU 구매를 해야 합니다.]
윈도우 10 보안 업데이트 지원은 2025년 10월 14일에 종료됩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0 ESU을 통하여
개인 사용자용 윈도우 10에 대한 지원을 2026년 10월 13일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개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윈도우 10 ESU 등록이 별거 아닌데
네이버 지식iN 질문들에 보면 아직도 이걸 모르는 분들에 많아서
이 글에서는 개인 사용자 윈도우 10 ESU 등록 방법을 설명하고 (방법 아주 간단합니다)
그에 따른 윈도우 변경 사항 및 필요한 조치들에 대하여 적어 봅니다.
("지금 등록"이 뜨지 않거나 ESU 등록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 글 마지막 부분 추록을 참고해 주세요.)
윈도우 10 ESU 등록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안내 링크-
https://www.microsoft.com/ko-KR/windows/extended-security-updates
Windows 10 확장 보안 업데이트 | Microsoft Windows
확장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Windows 10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확장 보안 업데이트가 PC를 보호하는 방법과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www.microsoft.com
개인 사용자의 경우 윈도우 10 ESU 등록을 위한 필수 조건은
윈도우 업데이트가 최신 상태여야 하며 정품 윈도우여야 한다는 겁니다.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작성 추록] 윈도우 10 ESU 등록은 정품 등록이 되지 않은 윈도우에서도 되더라는 경험담을 적은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정품 등록이 되지 않은 윈도우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순정 윈도우 설치 파일(크랙되지 않은 설치 파일)로 윈도우를 설치한 후에 말 그대로 정품 등록을 하지 않은 윈도우를 말합니다. 이렇게 정품 등록이 없이 사용을 할 경우 윈도우 설정에서 윈도우의 개인 설정 부분들을 설정할 수가 없고 또 윈도우를 등록(구매)하라는 메시지가 자주 출현하지만 보안 업데이트는 제공이 되어서 윈도우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는 없이 윈도우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마도 전체 (인터넷) 네트워크의 안전과 안정성을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는 비등록 윈도우에도 ESU를 제공하는 거 같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등록을 하지 않은 비등록 윈도우는 ESU 적격 윈도우에 속할지 몰라도 불법 인증(크랙) 윈도우는 그렇지 않을 거라는 겁니다. 하나만 더 추록으로 남긴다면 일부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 백업이 ESU 필수 조건인 거처럼 이야기하는데 제가 이 글에서 ESU를 진행한 PC의 윈도우에는 원드라이브가 아예 없습니다. 저는 제 PC"들"에서 원드라이브를 아예 삭제해 버렸거든요. |
정품 윈도우란
조립 PC를 구매한 경우에는 정품 윈도우를 직접 구매해서 설치했거나 또는 정품 윈도우 값을 내고
조립 업체에 윈도우 설치를 의뢰했던 경우 정품 윈도우이고
(주의! 윈도우 가격으로 16만원 이상 내지 않고 2~3만원을 냈었다면 그건 정품 윈도우 아닙니다.)
삼성전자, LG전자, HP 등등 메이커 PC를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 시에 윈도우가 설치된 제품으로 구매했었다면 그 윈도우 또한 oem 정품 윈도우입니다.
정품 윈도우 7/8에서 윈도우 10으로 무료 업그레이드를 받았던 경우에도
윈도우 10 ESU에 등록이 됩니다 (물론 PC 사양이 된다면 윈도우 11로 무료 업그레이드도 됩니다).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말씀을 드릴 것은
시스템 사양이 윈도우 11 설치를 지원한다면 ESU 등록보다는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또는 윈도우 11 설치를 추천한다는 겁니다.
윈도우 11을 지원하지 않는 PC의 경우에만 윈도우 10 ESU 등록을 추천합니다.
윈도우 10 ESU 등록은 지금부터 2026년 10월 14일 이전에 언제든 등록이 가능하지만
등록을 언제 하든 지원 종료 시점은 2026년 10월 14일입니다.
윈도우 10 ESU 등록 방법 |
시작> 설정을 누르면 뜨는
설정 창에서 업데이트 및 보안으로 들어가면
[그림 2]
지금 등록이라고 보일 겁니다.
참고: 만약 지금 등록이 보이지 않는다면 2025년 10월 14일까지는
순차적으로 ESU가 배포된다고 하므로 기다리면 10월 14일 이전에는 지금 등록이 보이게 될 겁니다.
( "적격= 정품" 윈도우라면 10월 14일까지 안 뜬다 해도 윈도우 업데이트가 최신 상태라면 조만간 보이게 될 겁니다.)
지금 등록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다음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하라고 하는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다면 하나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위의 창에 마이크로소프트 이메일 아이디를 적고 다음을 누르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2단계 인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2단계 인증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래 올린 2단계 인증 창들은 뜨지 않습니다.)
(제 마이크로소프트 아이디는 오래전에 만든 거고 2단계 인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ESU 등록 시
저는 제 마이크로소프트 2단계 인증 이메일 계정(네이버)에 로그인하지 않고 있었으므로
추가 확인 방법 표시를 클릭해서
[그림 6]
전화번호 인증을 선택했습니다.
전화번호 마지막 네 자리를 적고, 코드 전송을 눌러서
(전화번호 마지막 네 자리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같아야 합니다.)
이제 문자 메시지로 받은 코드를 적고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잠깐 뜬 후에
아래 창처럼 뜨는데
만약 여기에서 제가 올린 스샷과는 다르게
마이크로소프트 리워즈 1,000포인트 사용하기와 40 USD에 등록하기가 보인다고 해도
그냥 아래 스샷에서 보이는 추가 비용 없음을 선택하고 등록을 누르면 됩니다.
언급한 셋 중 어느 걸 선택해도 결과는 같으므로 추가 비용 없는 무료로 등록하면 됩니다.
그런데 보시면 어? 나는 윈도우 설정을 백업한 적이 없는데?
그런 생각이 들어도 무시하면 됩니다.
이 글에서 ESU 등록 방법 설명 다음 챕터인 등록 후 변경된 사항들에서 설명하겠지만
(혹시라도 추가 비용 없음이 안 뜨는 분들은 다음 챕터 참고해서 윈도우 백업 설정을 변경)
윈도우 ESU 등록 프로그램이 내가 윈도우 백업 설정을 변경한 적이 없어도 지가 변경을 한 겁니다.
그래서 무료 등록이 가능하도록요.
이제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이 과정은 내가 ESU에 등록 중인 PC를
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면 이제 아래 창에 보이는 거처럼 표시가 되는데 이로써 ESU 등록은 끝이 난 겁니다.
PC 완전히 백업하기는 할 필요 없습니다.
등록이 되었다는 사실은 시작> 설정> 업데이트 및 보안에 들어가서
아래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처럼 표시되는 걸 확인하면 됩니다.
등록으로 변경이 되는 사항들 |
우선 "변경이 안 되는 사항 하나를 먼저 말씀을 드린다면"
ESU 등록 전에 PC의 윈도우를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면
ESU 등록 후에도 PC를 부팅 시 접하게 되는 로그인 화면(잠금 화면)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아닌 로컬 계정을 접하게 되고 (ESU 등록 이전처럼)
윈도우 로그인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비밀번호가 아닌 로컬 계정 비밀번호로 한다는 겁니다.
또 아래 스샷에서 보이는 거처럼 시작> 설정 등이 표시되는 곳의 계정 표시도 로컬 계정으로 표시됩니다.
사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ESU 등록을 해도
PC에서 변경이 되는 부분은 많지 않다는 점에서
2025년 10월 14일 윈도우 10 지원 종료를 공언하던 마이크로소프트가
그냥 지원을 연장하기는 머쓱하니까, 연장을 위한 요식 행위를 하나 만든 거로 느껴집니다.
이제 변경이 되는 사항들
윈도우 설정에서 계정으로 들어가서
Windows 백업을 열면
(아래 스샷에서 빨간 글자로 표시한 여기에는 내 마이크로소프트 이메일 아이디가 뜹니다.)
이 글에서 등록을 진행한 제 PC의 경우 내 앱 기억하기만 켜져 있었고
내 기본 설정 저장하고 동기화 작동 방법은 꺼져 있었는데
모두 켜졌음이 보입니다.
(① 계정, WiFi 네트워크 및 암호는 제가 끈 겁니다.)
사실 여기에서 동기화 작동 방법은
"Microsoft 환경에서 기본 설정에 빠르게 액세스"가 꺼지지 않게
아무거나 하나만 켜면 될 거로 보이지만
저는 "계정", WiFi 네트워크 및 암호만 껐습니다.
다른 것들은 개인 정보와는 관련이 없으니까요.
엣지를 실행해 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는데
이 메시지는 윈도우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을 했으니까
엣지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되었다는 표시입니다.
엣지에서 로그아웃하고 싶다면
엣지 설정에서 로그아웃을 누르면 뜨는 창에서 로그아웃하면 됩니다.
다만 로그아웃 시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워즈를 모을 수 없는데
마이크로소프트 리워즈는 엣지 로그인 상태에서 빙(Bing)에서 검색 등을 수행할 경우
모을 수 있는 포인트를 말하는데, 저는 모으고 있지 않으므로
이 글에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위에 올린 [그림 2]의 ①에서는
저는 로컬 계정을 사용 중이었기 떄문에 [그림 2]의 ①에 로컬 계정이 표시가 되었는데
ESU 등록 후에 설정을 열면
아래 스샷에서 보이는 거처럼
①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등록된 이름이
(저 같은 경우 실명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었었기 때문에 제 실명이 뜨고 있습니다.)
②에는 내 마이크로소프트 이메일 주소 아이디가 보입니다.
위 스샷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내 Microsoft 계정을 클릭하게 되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페이지가 뜨는데
뜨는 페이지에서 등록된 기기가 곧바로 확인됩니다.
자세히 보기를 누르면 등록된 기기 상세 사양이 보입니다.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아래 아래 챕터 "이 글을 작성하다가 생긴 의문 하나" 챕터도 반드시 읽어 주세요!
ESU 등록 후 필요한 조치들 |
ESU 등록 후 필요한 조치들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대한 보안 설정들입니다.
사실 계정에 대한 보안 조치들이야 나의 모든 계정들에서 필요한 거지만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하여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합니다.
우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페이지에서 보이는 보안 탭을 열고
로그인 방법 관리로 들어가서
2단계 인증을 켜기로 해서 2단계 인증 설정을 하세요.
제 계정 같은 경우에는 이미 설정이 되어 있어서 켜짐으로 되어 있는 겁니다.
(저 같은 경우 암호 없는 계정은 사용 안 할 겁니다.)
제가 이미 켜진 걸 껐다가 다시 설정하는 건 상당히 귀찮아서
대략 말씀을 드린다면 (설정이 직관적이기도 하므로)
설정 시 인증 코드를 이메일로 받기와 전화번호로 받기를 꼭 선택해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보안에서 아래로 스크롤하면 복구 코드에서
새 코드 생성이 보이는데 코드 생성을 한 적이 없다면 이 코드를 꼭 생성하세요.
(생성했으면 꼭 메모도 해 두세요.)
(복구 코드는 마지막으로 생성한 코드만 유효하므로 코드를 새로 생성할 경우 다시 메모하세요.)
그렇게 하면 위에 올린 [그림 6]에서 ② 코드가 있음을 클릭하고
생성했던 코드를 입력 후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이 글을 작성하다가 생긴 의문 하나 |
설정에서 아래 빨간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을 누르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페이지가 뜬다고 했었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페이지는 로그인 상태로 뜨게 되는데요.
저는 이 글을 적으면서 스샷을 잡기 위해서 계정 페이지에 접속을 했다가
습관적으로 로그아웃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다음에 위 스샷에서 보이는 빨간 화살표 부분을 클릭했더니 로그인하라고 떴습니다.
당연하죠. 로그아웃했으니까요.
그런데 여기에서 생긴 의문 하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을 항상 유지해야 하나 하는 문제입니다.
(위 스샷에서 빨간 화살표 부분 클릭 시 로그인 상태로 계정 페이지가 떠야 하나 하는 의문.)
그 이유는 윈도우 10 ESU 조건이 윈도우 백업 설정이 되어야 한다는 건데
윈도우 설정 백업은 결국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해서 되는 것이고
그렇다면 로그인 상태가 유지가 되어야 하니까요.
그러나
① 나의 개인 PC이지만 여럿이 사용하는 경우
② 또 RAT 계열 악성코드 감염 등 경우에는
로그인이 되어 있다는 건 보안상 허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 알 수 없는 이유로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아웃이 된 경우에 윈도우 업데이트가 안 된다면 그것도 곤란하겠죠.
그러므로 로그아웃 상태라고 해도 윈도우 업데이트는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로그인 유지 필요성 이 부분은
저 같은 경우에는 일단 로그인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로그인 유지 상태에서 11월 업데이트가 잘되는지 본 후에
12월에 로그아웃 상태에서도 업데이트가 되는지 살펴보기로요.
로그인 유지 필요성 이 부분에 대하여는 여러분도 저처럼 살펴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엣지에서 로그아웃은 ESU 유지와 무관할 겁니다. 엣지에서 수행하는 백업은 ESU 조건이 아니므로.
글을 마치며 |
바람을 하나 적는다면
마이크로소프트가 개인용 ESU도 2028년 말까지는 지원을 했으면 합니다 (어차피 업무용 윈도우 10 ESU 지원을 하니까요).
마이크로소프트도 이익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이므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업데이트를
또 무료 연장 지원하는 게 그렇다면 1년에 한화 기준으로는 4~5만원 정도를 받고 그랬으면 합니다.
어? 비싸네? 할 수도 있지만
제가 이 글에서 ESU에 등록한 PC의 경우
2014년 9월 말에 본체(TV 수신 카드 포함) + 모니터 + 따로 구매한 윈도우 7 DSP 해서
155만원 정도에 마련한 조립 PC였습니다.
그러므로 2025년 말 기준
1년 사용비를 산정한다면 140,000원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그걸 생각한다면 일 년에 4~5만원 정도는 비싼 건 아니라고 여겨집니다.
이 PC도 아직도 제가 사용을 하는데 (저는 게임은 안 하므로) 아무 문제도 없고 빠릿빠릿하거든요.
CPU가 인텔 6 ~ 7 세대 CPU PC인 경우에는 1년 사용비는 더 높아질 겁니다.
그러므로 4 ~ 5만원은 그리 비싼 거는 아니라고 느껴지는 데다가
더욱 중요한 건 환경적인 문제라고 여겨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11에서 시스템 요구 사양을 이전과는 확 다르게 요구하는 바람에
내년 이후에는 수도 없이 엄청나게 많은 PC들이 , 사용자의 요구는 충족하고 있는 PC들임에도 폐기가 될 겁니다.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이라는 문제는 무시하지 못할 정도일 거라 여겨집니다.
또 윈도우 11 PC를 가지고 있어도 (저도 윈도우 11 PC를 가지고 있지만)
잘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10 PC를 버리기 바라는 소비자들도 없을 겁니다.
이제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생산, 환경을 생각하는 마인드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런 면에서도 개인 사용자의 경우에도
"유료" ESU를 2026년에 그리고 2027년에도 제공했으면 하는 바람을 남겨 봅니다.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에 남기는 추록- "지금 등록"이 뜨지 않는 경우 |
"지금 등록"이 뜨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적격" 윈도우가 아니라서 뜨지 않을 확률이 가장 높다고 보입니다.
이 글 모두에서(위에서) 정품 윈도우가 적격 윈도우라고 적은 후
정품 윈도우가 뭔지를 적고 나서,
정품 등록이 안 된 순정 설치 파일로 설치한 윈도우도 적격 윈도우일 수 있다고 했는데
불법 인증 또는 크랙된 윈도우의 경우에는 적격 윈도우가 아니고
그래서 지금 등록이 안 뜨는 경우가
지금 등록이 안 뜨는 원인들 중에 가장 많을 거라고 여겨집니다.
PC 수리점 등에서 2~3만원 정도 내고 윈도우를 설치한 경우
(저는 그렇게 윈도우를 설치한 경험이 없어 확실치는 않지만
지식iN이나 예전 다음 Tip에서 얻은 정보들을 생각해 보면)
아마도 볼륨 라이선싱으로 윈도우를 설치해 주는 경우가 대다수일 거라고 여겨지는데
그 경우에는 불법 인증도 인증이지만
"개인용 윈도우 10이 아닌" 거가 되기 때문에 당연히 지금 등록이 뜨지 않겠죠.
※ 순정 설치 파일로 설치한 정품 등록이 안 된 윈도우의 경우에도
안 뜨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거 같기도 하고요.
만약 내 윈도우10은 틀림없는 정품 윈도우 10인데 안 뜨네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확인 및 조치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윈도우에 계정이 여러 개인 경우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되었나 확인.
2.
윈도우 업데이트가 최신 상태인지 확인.
최신 상태라고 떠 있어도 업데이트 확인을 한 번 더 눌러서 업데이트 확인.
3.
"문제 해결"이 도움이 되나 확인.
①검색 (박스)에 "문제"라고 적으면 보이는 ②설정 문제 해결을 클릭하면 뜨는
문제 해결 창에서 ③추가 문제 해결사를 누르고 들어가서
④"Windows 업데이트" 문제 해결사를 실행.
4.
그래도 안 되면 이 글 모두에 언급한 거처럼
"윈도우 10 ESU는 10월 14일까지 순차적으로 배포"된다고 하므로
일단 10월 21일 정도까지도 기다려 보고 그래도 안 된다면
윈도우 10 초기화 후에 ESU가 되는지 살펴볼 수밖에 없다고 보입니다.
윈도우 10 초기화 시에는 "내 파일 유지" 옵션으로 초기화를 하게 되면
초기화 시에 나의 데이터 파일들은 사라지지 않으므로 자료를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혹시라도 모를 오류에 대비해서 정말 중요한 자료들은
백업을 한 후에 초기화를 히는 게 좋겠죠.
윈도우 10 초기화 시 내가 설치한 프로그램들은 사라지고 윈도우만 남게 되므로
내가 설치했던 프로그램들은 다시 설치를 해야 하고요.
이상 "지금 등록"이 뜨는 않는 경우에 대한 추록을 적어 보았습니다.
'윈도우즈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년 8월 윈도우즈 업데이트 다운로드 링크 (1) | 2009.08.14 |
---|---|
2009년 6월 Microsoft 보안 패치 다운로드 위치 (0) | 2009.06.11 |
2009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패치 (0) | 2009.05.14 |
2009년 4월 Microsoft 보안 패치 다운로드 위치 (0) | 2009.04.16 |
2009년 3월 Microsoft 보안 공지 (0) | 2009.03.11 |
2009년 2월 Microsoft 보안 공지 (0) | 2009.02.11 |
윈도우즈 업데이트(보안패치) 란 ? (3) | 2009.02.07 |
2009년 1월 Microsoft 보안 패치 다운로드 링크 (0) | 2009.01.30 |
댓글